Algorithm/백준
[백준] 1269 대칭 차집합
SSONGMI
2021. 6. 15. 09:38
반응형
문제 출처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269
1269번: 대칭 차집합
첫째 줄에 집합 A의 원소의 개수와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집합 A의 모든 원소가, 셋째 줄에는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
www.acmicpc.net
1. 입력
: 첫째 줄에 집합 A의 원소의 개수와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
: 둘째 줄에는 집합 A의 모든 원소가, 셋째 줄에는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진다.
: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200,000을 넘지 않으며, 모든 원소의 값은 100,000,000을 넘지 않는다.
2. 출력
: 첫째 줄에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한다.
3. 풀이
: A와 B 집합을 HashSet으로 만든다.
: 입력을 받고 A-B 와 B-A를 removeAll 함수를 통해 구현한다.
: 이 때, A-B를 하고나면 A의 원소들이 바뀌기 때문에 미리 다른 집합에 복사해놓고 할 수 있도록 한다.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HashSet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대칭차집합 {
static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static 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;
static StringTokenizer st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Exception{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int sizeA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nt sizeB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HashSet<Integer> setA = new HashSet<>();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for(int i = 0; i < sizeA; i++) {
setA.add(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);
}
HashSet<Integer> setB = new HashSet<>();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for(int i = 0; i < sizeB; i++) {
setB.add(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);
}
HashSet<Integer> setTemp = new HashSet<>();
setTemp.addAll(setA);
setA.removeAll(setB);
setB.removeAll(setTemp);
System.out.println(setA.size() + setB.size());
}
}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