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업혁명단계별 스마트 팩토리의 특징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사례
1. 스마트팩토리의 핵심 구성 요소
① Equipment Control
: 설비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를 추출해 분석
: 사람이 제어하는 것처럼 지속적으로 설비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
② Material Handling
: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자재를 전송할 수 있도록 역할
: OHT(Overhead Hoist Transport)
→ Equipment Control과 Material Handling은 스마트 팩토리의 물리적인 제어를 담당
③ Manufacturing Operation
: 제조를 하기 위한 행위의 표준, 순서, 절차를 저장
: 기록된 표준대로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역할
: 시스템이라기 보다는 스마트 팩토리의 핵심 구성 요소
: 소프트웨어적인 구성 요인으로는 Workflow Management System,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이 있음
④ Scheduling / Dispatching
- Scheduling
: 계획을 세우는 것으로 어떤 설비에 어떤 lot이 갈지 예정된 계획을 세움
- dispatching
: 예정된 것이 아닌 확정된 루트, 라우팅이나 작업 계획이 반영된 것을 말함
: dispatcher가 Material Handling에 명령어를 내려줌
→ Job Scheduler, Dispatcher에 의해 계획이 Manufacturing Operation으로 전달되고 Material Handling과 Equipment Handling 기능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동되면서 실행되어 움직임
⑤ Process Control
: 공정 진행 중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역할
: 공정이 진행되기 전 모든 설비의 운전 조건을 검사하고 자재의 이상유무 판단
⑥ Manufacturing Data Analysis
: 제조에서 생산에 대한 성능지표는 Cycle time, 생산량, 수율, 설비 가동률 등이 있는데 이러한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고 변화에 따라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판단
: 생산 라인을 모델링하여 해당 생산 라인의 경쟁력을 판단하거나 유연성, 투자 대비 효율성을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수단
⑦ Engineering Data Analysis
⑧ Engineering Data Analysis
→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Manufacturing Operation, Job Scheduler, Process Control, Material Handler, Equipment Control에서 발생한 데이터들을 생산적인 관점 또는 기술적인 관점으로 분석해 개선활동이나 최적화 요인을 모델링하는 것
- 본 게시글은 K-MOOC의 스마트팩토리 강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