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조 프로세스와 MES
1. 제조 프로세스란?
: 유형의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
① 조달 : 필요한 부품을 조달하는 행위
② 생산 : 실제로 제품을 생산하는 행위
③ 전달 : 생산한 제품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행위
2. 생산방식의 종류
① 주문생산 : 표준 제품 설계를 이용하여 고객 요구 규격에 따라 생산 ex - 항공사
② 재고생산 : 완제품의 재고 고객에게 판매 ex - 전자상거래
③ 주문설계 : 고객이 요구하는 규격에 따라 제품 설계 및 제작 ex - 건설사
④ 주문조립 : 부품이나 모듈 재고를 이용하여 고객의 주문 규격에 따라 생산 ex - Dell 컴퓨터
3. MES(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)
: 주문부터 완제품까지 생산활동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정보관리 및 제어 솔루션
: 생산과 공정 간의 운영시스템
① 협의의 MES
- 현장관리 시스템 : 생산계획에 맞춰 생산량을 할당하고 실적 취합
- 통합 : 품질정보, 설비현황 등 상하 연계 및 조직 간 정보 공유
② 광의의 MES
- 계획수립 → 제조실행 → Delivery에 이르는 과정
- 전략 + 프로세스 + System + 설비에서 도출되는 Value Chain을 최적화하는 시스템
3. MOS(Manufacturing Operation System)
: 제조헌장 실행 및 통제 시스템 (MES 모듈 중 가장 중요)
: 생산실행 모듈의 주요 기능
- 용어 정리
① CGM : 생산헌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준정보
② BOM : 모든 품목의 상위 품목과부품관계를 정리한 자재명세서
③ Rule Modeler : 비즈니스 룰 시뮬레이션 등의 기능 제공
④ Rule Engine : Rule 기반으로 생산 프로세스가 진행되도록 역할
⑤ VVIP(Work In Process) : 기준 정보에 따라 로트의 실행을 직접 지시
⑥ 로트(Lot) : 1회 생산되는 특정 수의 제품
⑦ Inventory : 주요 자재의 공급, 반송, 입출고 기능 제공
⑧ Tracking : 모든 로트의 트래킹 정보 제공
⑨ Tracing : 주요 완제품, 반제품, 원재료를 추적할 수 있는 기능 제공
4. 작업장
: 생산활동을 위한 자원들이 조직화되어 제품을 완성하는 장소
- 일정계획 시스템에 따른 분류
① 무한능력 : 필요한 자원이 충분한지, 작업 순서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단점
② 유한능력 : 작업일정을 세밀하게 계획하는 활동 필요
③ 전진일정 계획 : 주문을 받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완료되어야 하는 각 작업에 대한 일정을 계획
④ 후진일정 계획 : 미래의 일정시점에서 시작해서 시간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작업일정을 계획
5. 시설배치
: 장비의 공간적 구성으로 제조 자원을 전략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
① 공정별 배치
: 처리 대상 제품이나 서비스마타 처리 요구사항이 다를 때 적합
: 처리 대상이 계속적으로 흐르지 않고 끈기기 때문에 단속처리라고도 함
: 다양한 처리 요구를 다룰 수 있고, 장비 고장에 크게 취약하지 않다는 장점
: 공정재고 비용이 높고, 장비 가동률이 낮은 단점을 지니는 것이 특징
② 제품별 배치
: 표준 프로세스를 사용해서 많은 양의 흐름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흐르게 하는 배치
: 제품이나 서비스가 매우 표준화되어 있어 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
: 인력과 장비 가동률이 높아서 높은 장비 투자비용을 상쇄할 수 있다는 장점
: 장비의 고장으로 전체 프로세스가 정지될 취약성 존재
③ 위치고정형 배치
: 배치 작업 대상은 한 자리에 있고, 작업자와 물자, 장비가 필요에 따라 이동하는 방식
: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나, 조선, 대형 항공기, 우주선 등의 제작에 채택
: 행정 및 관리 부담이 큰 방식
④ 셀 배치
: 셀이라는 하나의 집단으로 묶어서 구성하는 방식
: 최소한의 운반과 지연으로 프로세스 전체에 걸쳐 작업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해 여러 제품을 최소한의 낭비로 생산할 수 있는 특징